SMB (Server message Block)
다른 OS(Windows)에서도 파일 등의 공유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.
패키지 설치
[root@localhost ~]# rpm -qa | grep samba
[root@localhost ~]# yum -y install samba
방화벽 설정
samba는 udp 137,138 / tcp 139 포트를 사용한다. 따라서 이 포트들을 오픈 시켜준다.
##모든 포트 열기.
[root@localhost ~]# iptables -L
[root@localhost ~]# iptables -F
[root@localhost ~]# service iptables save
[root@localhost ~]# iptables -L
##해당 포트만 열기.
[root@localhost ~]# vi /etc/sysconfig/iptables
...
-A RH-Firewall-1-INPUT -p udp -m state --state NEW -m udp --dport 137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p udp -m state --state NEW -m udp --dport 138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p tcp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-dport 139 -j ACCEPT
...
[root@localhost ~]# service iptables restart
smb 설정 및 서비스 시작
[root@localhost ~]# vi /etc/smb.conf
...
#workgroup = MYGROUP
workgroup = WORKGROUP
server string = Samba Server Version %v
....
#security = user
security = share
...
##최하단에 추가
[data]
comment = test
path = /data
writable = yes
public = yes
security는 말그대로 보안. 접속 시에 권한 등에 관한 설정이다.
- user = ID와 PW. 계정을 통한 인증
- server = 서버를 통한 인증
- domain = domain을 통한 인증
- share = 인증없음
[root@localhost ~]# service smb start
접속 테스트
■ Win + R (실행) → \\리눅스서버IP
■ 리눅스에서 공유했던 디렉토리를 확인할 수 있다. 파일 생성, 수정, 리눅스에서 확인 등 여러가지 해보면서 테스트 진행
'Linux > 구축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ogrotate (0) | 2016.11.04 |
---|---|
vsftp를 이용한 ftp 환경 구축 (0) | 2016.08.25 |
sftp를 이용한 파일 전송 (0) | 2016.08.09 |
CentOS 6.x 설치 !! (0) | 2016.08.09 |
최소설치에서 GUI 설치 (minimal에서 GUI 구축) (0) | 2016.08.05 |